전체 글(320)
-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검색 최적화 (네이버 노출하는 법)
블로그가 재밌습니다. 뭔가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편하게 할 수 있다는 것도 좋고, 그렇게 한 말을 누군가가 봐 준다는 것도 재밌습니다. 정말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 재미의 핵심은 '누군가가 봐준다'는 것일 겁니다. 내가 공들여 만든 컨텐츠를 아무도 봐 주지 않는다면 그 컨텐츠는 아무리 좋은 내용이 있고, 도움이 되는 컨텐츠라고 하더라도 죽은 컨텐츠라고 볼 수 밖에 없을 겁니다. 블로거도 마찬가지고, 유투버도 마찬가지고 구독자, 방문자수에 민감한 건 당연한 일일 겁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유입은 많은데, 자유도가 티스토리에 비해 좀 떨어지죠. 특히나 수익창출 면에서는요. 그래서 요즘엔 티스토리 블로그가 많이 생겨나는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는 다음카카오에서 만든 블로그라 다음 검색에서 우선적으로 노출됩니다...
2020.04.23 -
'와신상담'이 무슨 뜻이죠?
'와신상담' 하면 뭐가 제일 먼저 떠오르세요? 부끄럽지만... 전 핸즈프리를 낀 상담원들이 제일 먼저 생각난답니다... ㅠㅠ 미안합니다. 단어의 어감 때문인지 왠지 consulting... 같은 말이 먼저 떠오르긴 하지만, '와신상담'은 실제로는 매우 비장한 뜻의 고사성어랍니다. 臥누울 와 薪섶 신 嘗맛볼 상 膽쓸개 담 상담인데, 왜 또 눕죠? 흠흠... 네.. '섶'이라는 말이 요즘 좀 안 쓰는 말이라 좀 생소하실 수도 있는데, 섶은 '풀섶'의 섶을 말합니다. 풀이나 잎나무, 풋나무등 풀은 풀인데... 짚 같은 건초더미... 뭐 이런 느낌의 말입니다. 아재들은 대번에 아는 말입니다. 그래서, '와신'이라 하면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 나오는 건초침대 -_-;; 같은 곳에.. 사실은 매우 초라한 풀숲, 건초..
2020.04.22 -
'토사구팽'이 무슨 뜻이죠? (교토사주구팽)
토끼와 강아지의 수난시대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이렇게 귀엽고 깜직한 토끼가... 이렇게 치명적인 강아지의 혀가 있는데, '토사구팽'이라니요?? 요즘에도 교과과정 중에 한문 수업이 있나 모르겠네요. 한문 수업이 있다면 모를리가 없는 사자성어. 오늘의 사자성으는 '토사구팽' 입니다.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옛날에는 토끼 사냥에 개를 이용했었나 봅니다. 그 날랜 토끼를 사람이 쫓아가면서 잡기 힘들었겠지요. 그래서 개를 이용해서 토끼를 사냥했으니, 개의 주인은 목적을 달성한 겁니다. 개 입장에서는 주인에게 칭찬을 받아 마땅한 상황입니다. '토끼 고기를 한 점이라도 주려나?'하고 침을 흘리고 있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주인은 칭찬해야 마땅할 우리 귀여운 ..
2020.04.22 -
주식투자 하는 법 (초보자도 쉽게쉽게!)
뉴스만보면 세상이 곧 망할 것만 같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이렇게 우리 경제에 치명적인 영향이 있을 줄 불과 몇 달 전에는 몰랐습니다. 미래를 볼 수 있는 거울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미래를 볼 수 있는 거울' 투자자들이라면 더더욱 간절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투자자라고 해서 거창한 건 아닙니다. 큰 돈이 들어가는 부동산 투자도 있지만, 진입장벽이 낮은 주식투자도 있습니다. 요즘은 개인 투자자들도 폭락장이라고 손실만 보는 건 아니더군요. 그만큼 금융지식도 늘어나고 내공도 쌓여서 생긴 결과이겠지요? 오늘은 주식투자 스텝1. 주식투자 어플 설치하고 주식사고 파는 법을 간단하게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보통은 접근성 때문에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실 것 같아,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MTS 기준으로 포스팅해 ..
2020.04.21 -
'예타'란 무엇인가요? (예타면제 뜻)
종종 뉴스에서 예타, 예타면제라는 말을 봅니다. 예타라는게 뭔가 중요한 거니까 뉴스에서도 뜨는 걸텐데, 이게 왜 중요하고, 우리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예타'는 줄임말 입니다. '예비 타당성 조사'의 줄임말 입니다. 먼저,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비'를 떼어놓고 생각해 봅시다. '타당성 조사' 뜻이 한결 명료해 지지요? 네, 어떠한 일이 옳은 지 그른지, 맞는 지 틀린 지 한 번 따져보겠다는 것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게 언제나 '돈' 입니다. 그래서 뉴스에서 '예타'라고 하는 뜻의 타당성 조사는 '경제성' 검증에 대한 타당성 검증입니다. 그래서 경제성이 있냐 없냐를 따지는 것이지요. 예타 - 어떤 정책을 집행하는 데, 이게 돈을 버는 사업인지 돈을 까먹는..
2020.04.21 -
주식 기초 용어 2 – 최대한 쉽게 정리
1편에서 밝혔다시피….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매우매우 의역된 용어 해설입니다. 고수 분들이 알고 계신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더라도 풀어서 설명했겠거니.. 하면서 넘어가 주세요~~ 1. 외국인 – 큰 손, 주식 가격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주요 투자그룹 주식 관련 뉴스를 보면, 외국인이 얼마를 샀네, 외국인이 얼마를 팔았네… 해서 패닉이다… 뭐 이런 말들을 많이 볼 수 있음. 국내 주식시장에 메이져는 내국인 아닌가? 할 수도 있겠지만, 외국자본이 주식의 방향성에 훨씬 큰 영향을 미침. 투자 방법 중에 외국인들이 매수한 주식을 뒤따라 사고, 외국인들이 판 주식을 뒤따라 파는 방법도 있을 정도임. 그냥 이해 안 가면 회사에 사장 정도 되는 영향력을 가진 존재라고 봐도 무방함. 2. 기관 – 외국인에 버금가는 큰 ..
2020.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