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완납증명(납세증명서) 인터넷 발급방법 (납부내역증명 포함)
2020. 5. 26. 18:20ㆍ라이프
반응형
대출 관련해서 은행 방문하면 필수적으로 요청하는 자료가 있습니다. 국세완납증명서/지방세 완납증명서 입니다. 대출 뿐만아니라, 공공기관 또는 군부대 납품 등 세금 미납 시 업무 진행이 안 되는 곳 도 많지요. 성실히 납세한 납세자라면, 납세증명서 떼는 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미납 국세 또는 지방세가 있더라도 납부하면 즉시 완납 증명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미납 내역 있으면 납부 후 재발급 받으세요.
준비물 : 컴퓨터, 프린터, 공인인증서
준비물이 갖추어 졌으면 시작하겠습니다.
https://www.hometax.go.kr/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국세완납증명서는 홈택스에서 뽑으시면 편리합니다. 세금이니까 국세청 홈택스가 아무래도 편리하겠지요? (정부24에서 뽑으실 수도 있습니다. 정부24에서 뽑으실 때는 정부24 홈페이지에서 검색바에 '완납'이라고 치면 쉽게 검색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GLx1S/btqEpZJfZfz/WVSk5C05vVE9PKnKjRYvXk/img.png)
일단 화면 상단에 있는 '로그인' 메뉴를 눌러서 로그인 먼저 해주세요. 그 다음에 상단 메뉴 중에 '민원증명' 메뉴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lxtFE/btqEoUu7o4m/eLikn4fvxQeWgSi6fK2nV1/img.png)
민원증명 화면 오른쪽을 보시면 연노란색 바탕에 민원증명신청 메뉴가 있고, 하위 메뉴에 '납세증명서'와 '납부내역증명'이 있습니다. 보통은 납세증명서(국세완납증명)만 출력해도 되는데, 기관에 따라 '납부내역증명(납세사실증명)'을 요청하기도 합니다. 납부내역증명은 납부한 세금의 상세내역 및 납부일, 세금액, 귀속연도 등이 자세하게 나옵니다.
공짜입니다. 애매하면 두 서류 다 출력해 가세요. 금방 출력됩니다.
1번 납세증명서(국세완납증명)을 클릭해 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dnZEIg/btqEpJzVsdn/ilANDed5CitDYmaJqPDJ1k/img.png)
주민등록번호는 '공개'를 추천드립니다. 자료 제출 시, 비공개로 제출해야 된다고 하면 현장에서 싸인펜이나 볼펜으로 마스킹 처리하면 됩니다. 제출처는 목적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목적에 맞게 선택하셨다면,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Z4HD7/btqErKq5fL3/5qlwIEnF9AgJvmVyCBk9Q1/img.png)
인터넷 환경이 아주 느리지 않다면 보통 신청하기를 누름과 동시에 처리완료가 뜹니다. 민원접수번호 누르지 마시고, '발급번호'를 클릭하면 문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grOq9/btqEpInuXNY/ne4SjA3RpLiRcsLnt3skH0/img.png)
상세납부내역은 2번의 납부내역증명(납세사실증명)을 클릭해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7rB7S/btqEoTXlt9y/qfXwIwa5wOVMFrTRIizaPk/img.png)
세목은 '전체'로 두시면 됩니다. 수납기간은 자료 요청 기관에서 정해준 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사용용도, 제출처는 필요에 따라 입력하세요. (대출이면 금융기관 제출용으로 뽑으시면 됩니다.)
설정을 다 하셨으면,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k3gGa/btqEqtDoHCi/gB5J9OQqexyAXEb6lzwt01/img.png)
처리상태가 '처리완료'로 바뀌어져 있다면, 발급번호를 눌러서 출력하시면 됩니다. 가지고 있는 프린터가 공문서 발급 가능한 프린터인지 미리 확인하고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화면의 노란색 [프린터 테스트]를 누르면 미리 프린터로 테스트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발급 전 눌러서 확인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사업자들의 대출 필수서류 중 하나인 국세완납증명서와 국세납세사실증명서 발급방법을 알아봤습니다. 필요한 서류 쉽게 인터넷으로 발급 받으시고, 목적한 바 잘 이루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https://amag365.tistory.com/41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정부24 쉽게 따라하기)
준비물 : 공인인증서, 컴퓨터 계절의 여왕 5월이 다가왔습니다. 눈부신 햇살과 싱그러운 초록빛 나뭇잎...은 개뿔... 사업자들에게는 혹한기나 다름 없습니다. 부가세 낸지 얼마 안 된 거 같은데,
amag365.tistory.com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카드 DA@카드의 정석 혜택 정리 (신용카드 추천) (0) | 2020.05.29 |
---|---|
'희토류'란 무엇이고 또 왜 중요하죠? (REEs, 네오디뮴 원소) (0) | 2020.05.28 |
영유아 건강검진 문진표, 차수별 시기 (0) | 2020.05.20 |
4대보험 가입증명서 인터넷 발급방법 (사업장 가입자 명부 발급방법 포함) (0) | 2020.05.18 |
'부가세 과세표준증명' 인터넷 발급하는 법 (매우 쉬움, 부가가치세) (0) | 2020.05.13 |